대학원광장

공지사항

[공지] [2025 전기] 국제중국어교육학과 신입생 합격후기/재학생 학과생활후기

  • 관리자

국제중국어교육학과 신입생 합격후기/재학생 학과생활후기 



1. 2025학년도 신입생 김윤희(학부 전공: 중국학부) 


1) 본 대학원 학과 선택 이유(차별화)


 안녕하세요. 저는 25년 전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중국어교육학과 입학을 앞둔 김윤희라고 합니다.

 저는 학부 때 중어중문학을 전공하면서 교직 이수를 한 경험이 있고 졸업 이후 지금까지 학생들에게 중국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 스스로의 부족함을 많이 느꼈고 교수 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교수법을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는 교육대학원 진학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교육대학원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아쉬웠던 점은 이미 학부 때 교직 이수를 했기 때문에 저에게는 이론적인 부분에 치우친 형식적인 커리큘럼보다는 전문적 이론 지식을 바탕으로 한 실질적이고 실체적인 커리큘럼이 필요했습니다.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블로그를 통해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온라인 설명회에 참석하여 신승희 학과장님의 설명을 듣고 난 후 국제중국어교육학과가 특수목적 중국어 전문가 육성을 목적으로 다양한 실용적인 커리큘럼 구성과 이론을 기반으로 한 현장 중심 수업을 지향한다는 것이 큰 강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북경대학교 복수학위 프로그램 운영으로 북경대에 가지 않아도 북경대 교수님께 직접 북경대 교과과정을 배울 수 있다는 점 등이 본과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차별점이었습니다.


2) 입학 전형 준비 과정(어려움, 노하우)

 아무래도 대학원 진학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아 연구계획서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면접은 주로 어떤 질문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막막함이 컸습니다. 다행히 국제중국어교육학과는 블로그나 SNS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재학생·졸업생 소식을 알 수 있어 대학원 진학에 동기부여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온라인 설명회를 통해 디테일한 부분들까지 알 수 있었고 교수님께 질의하면서 궁금한 점들도 해소할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연구계획서는 제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싶은 분야에 대한 연구 필요성과 방향을 어필하는데 중점을 두었고, 면접에서는 대학원 진학과 연구에 대한 열정과 확신을 전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준비했던 것 같습니다.


3) 향후 계획

 제가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에서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 한층 더 성숙하고 전문성을 갖춘 교육 전문가로 성장하는 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대학원에서 얻은 지식을 지식에서 그치지 않고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적용 가능한 교수법을 연구하여 학생에게 좋은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교육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에 진심을 다 할 계획입니다.




2. 2025학년도 신입생 이다영(학부 전공: Chinese Language)


  1. 1) 본 대학원 학과 선택 이유(차별화)

 학부를 졸업할 즈음 취업과 대학원 진학 두 가지 선택지 기로 앞에서 고민이 많았습니다. 당시 20대 후반의 나이로 대학원 진학을 하는 것에 대한 적지 않은 부담을 느껴 부득이하게 취업을 선택하게 되었고 이어 결혼과 출산을 하게 되며 가보지 못했던 길에 대해 계속해서 아쉬움이 남아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아이가 어린이집에 다니게 되며 개인적인 주간시간이 확보가 되었고 이 시간대를 활용하여 공부를 다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영어 스터디와 중국어 쉐도잉 및 필사 스터디에 가입하여 상반기동안 공부를 해오며 열매를 맺고자 도전한 시험에서 한자 1급과 아동한자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었고 공부에 대한 흥미를 다시 느끼게 되며 갈증을 느끼던 중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의 블로그와 SNS 홍보를 우연히 접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대학원 진학을 망설이던 중 본교 과정의 여러 특징이 저를 이 학교로 이끌게 하였습니다. 

 우선, 거주지인 세종과 서울 왕복 6시간을 오가며 아침부터 저녁까지 학업에 들이는 시간이 많은 대학원은 저의 선택지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첫번째로, 거리와 육아시간에 크게 방해가 되지 않는 대학원이어야 했으며, 현재 남편도 박사과정에 있는 중이기 때문에 대학원에 시간적인 할애가 크지 않아야 했는데 본 대학원은 특수대학원으로써 야간에 수업이 있는 것이 큰 메리트로 느껴졌습니다. 사실 이 과정에서 남편의 절대적인 지지가 크게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남편의 전폭적인 지지로 저녁 육아를 맡기고 학교를 갈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 외특원의 꽃은 북경대 석사과정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이지만 이 제도를 활용하기에는 현실적 부분으로 제약이 생길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당대학원의 저명한 교수님들의 뛰어난 지도와 북경대 교수님의 원어강의를 들을 수 있는 기회는 큰 메리트로 다가왔습니다. 마지막으로 최소 4학기제의 졸업요건을 마친다면 2년의 시간동안 지금보다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으로 느껴졌고 상위 기술한 장점들을 토대로 본교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1. 2) 입학 전형 준비 과정(어려움, 노하우) 

 육아와 가정을 돌보며 틈새시간을 이용해 공부를 시작했고 그 과정속에서 지치지 않고 꾸준히 해 나가는 힘을 길러내는 게 쉽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학부를 중국 북경에서 나온 상황에서 국내 대학원 진학에 필요한 서류 준비를 반드시 학신망을 통해서 해야 하는 것이 입학준비에 있어 가장 큰 고난과 역경이었던 것 같습니다. 본인 인증을 받는 간단한 과정이 번거로웠고 문제 발생시 현지번호가 없다 보니 다이렉트로 전화 문의가 불가능하고 메일로만 소통을 해야 했습니다. 이로 인한 소통은 한계가 있었지만 인내심을 가지고 며칠동안 소식을 주고받으며 서류 준비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습니다. 


3) 향후 계획 등

 아이를 키우며 유아 중국어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신생아 시기부터 언어를 배우는 것이 어렵다는 생각보다 언어란 이 세상과 나를 잇는 하나의 소통 수단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가르쳐주고 싶었습니다. 스펀지처럼 흡수할 수 있는 아이의 특수적인 월령을 이용하여 놀이와 동요를 접목한 방법으로 언어를 다양하게 노출하고 있습니다. 본 대학원의 전문적인 교수법을 통해 교수자로서의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그동안의 교육에 대한 소망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3. 4학기 재학생 Zhang Qianqian(장첸첸/张芊芊) (학부 전공: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一、选择理由(差异化)

曾在刚入学的时候写过新生合格后记,很荣幸在研究生的最后一个学期有机会完成学科生活后记。

梨花女子大学国际汉语教育专业绝对是所有想在韩国学习汉语教学专业的学生最佳的选择。在教授方面,不仅有韩国学科权威专家辛教授、郑教授等作为指导,还有来自北京大学的中国教授进行共同教育,三学期的课程受益匪浅;在学科设置方面,理论与实践相结合,为学生提供香港理工大学、捷克大学等多种实践实习机会,可极大提升个人汉语教学能力;与此同时,一起上课的同班同学很多是有着长期教学经验的资深汉语教师、行业翘楚,大家互帮互助,互相学习,是一生中难得可贵的财富。梨花女大的魅力绝不停留于表面,在这里学习的每一天都十分幸福。


二、学科生活介绍及学业执行诀窍

基于学科的特殊属性,学科课程基本都在晚上,所以白天会进行很多学科相关的社团活动以丰富学科生活。中国诗歌社团、论文研读社团、新闻社团......社团种类丰富多样,提供很多与同学交流分享的机会。

捷克大学的汉语教学实习每年一次,极力推荐大家报名参与。即使没有教学经历,也可以通过这次宝贵的实习机会积累教学经验,与外国学生一起共同进步。

专业课程通常汉语、韩语同时进行,所以不管是对于中国学生还是韩国学生来说,都存在着一定的语言挑战,但同时也是快速提升语言能力的机遇。教授们都十分亲切友善,有听不懂、不理解的地方都可以及时提问咨询。取得好成绩的关键往往不在最后的考试,平日里一点一滴的努力与准备尤为关键。认真对待每一次发表与论文写作、珍惜每一次站上台展示机会、尽情体验学科生活,往往是可以愉快完成学业执行的诀窍。

不仅如此,学科还开设多门融合课程,线上线下同时进行,可以在最大的限度下调整自己的时间安排,非常的人性化。


三、今后计划

至研究生的最后一个学期,目前正在着手准备毕业设计和博士申请。有机会的话希望可以带着在梨花积累的宝贵经验,尝试更多的汉语教学实践和教材设计,丰富在韩国的学习生活。